이번에는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의 차이에 대해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일반적으로 회계는 외부 또는 내부 이해관계자 중 어떠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지에 따라 재무회계와 관리회계로 나뉩니다. 앞선 포스트에서 언급한 투자자와 채권자같이 기업 외부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회계 분야를 재무회계라고 하며, 경영자 등 기업 내부 이해관계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회계정보를 제공하는 회계 분야를 관리회계라고 한다.
재무회계(financial accounting)는 기업 외부의 정보이용자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기업 외부의 정보이용자가 재무회계의 주된 이용자이며, 이들은 채권자, 투자자, 정부 기관 등 매우 다양하다. 회사는 정보이용자들에게 기업에 대한 그들의 궁금증을 해결해 줄 수 있는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회사가 정보이용자들에게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준이나 원칙이 필요하며 이를 회계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GAAP)”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에 따라 회사는 다양한 외부 이용자들에게 그들이 공통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일정한 형식을 갖춘 재무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리회계(managerial accounting)는 기업 내부의 경영자가 기업가치 극대화를 위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회계 분야 중 하나입니다. 관리회계와 재무회계의 가장 큰 차이는 재무회계의 이용자는 외부 이용자이며, 관리회계의 이용자는 내부 이용자라는 점입니다. 관리회계는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회계이므로 재무회계와 달리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회계원칙과 상관없이 수많은 형태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관리회계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정해진 형식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음은 재무제표의 구성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재무제표는 일정한 공통된 양식을 갖춰야 하는데, 그 이유는 다양한 외부 이용자들이 해당 재무제표를 통해 의사결정을 하기 때문이다. 회사는 재무제표라는 양식을 통해 회계정보를 외부 이용자들에게 제공합니다.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으로 구성되며, 이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입니다.
재무상태표(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는 특정 시점 현재 기업의 자산, 부채 및 자본의 잔액을 보고하는 재무제표입니다. 자산, 부채, 자본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자산(assets): 기업이 소유권(법적 소유권 또는 실질 소유권)을 가지고 지배하면서 미래 경제적 효익을 얻을 수 있는 자원을 말합니다. 자산의 예로는 현금, 매출채권, 재고자산, 건물, 토지, 기계장치, 투자자산, 소프트웨어 등이 있습니다.
2. 부채(liabilities)는 기업이 경영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미래에 현금을 지급하거나 재화 또는 서비스 등을 제공해야 하는 의무를 말합니다. 외상매입금 등이 부채의 예라고 볼 수 있습니다.
3. 자본(equity)은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금액으로 순자산(net asset), 잔여 지분(residual interest), 소유 지분(owners’ equity) 등으로도 불립니다.
이처럼 자산이란 특정 시점의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유무형의 재산 총계를 말하며, 부채는 특정 시점 경제적 의무를 말합니다. 자본은 자산에서 부채를 뺀 잔액이며, 따라서 부채와 자본의 합계는 항상 자산과 일치합니다.
포괄손익계산서(comprehensive income statement)는 기업의 일정 기간 동안 수익과 비용을 통해 경영성과는 보여주는 재무제표입니다.
1. 수익(incomes)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번 돈을 의미합니다. 재고자산을 판매하고 발생한 매출액, 용역을 제공하고 받은 서비스 수수료, 부동산 등을 임대하고 얻은 임대료 등이 수익에 해당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익이 발생하면 현금 등 자산이 증가하고 이는 자본(순자산)의 증가를 가져옵니다.
2. 비용(expense)은 기업이 수익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소비한 경제적 자원을 말합니다. 판매한 상품의 원가, 용역을 제공하면서 발생한 종업원 급여, 건물 임차 시 발생한 임차료 등이 해당합니다. 비용이 발생하면 자산이 감소하거나, 부채가 증가하여 자본(순자산)은 감소합니다.
자본변동표(statement of changes in equity)는 일정 기간 기업 실체의 자본의 크기와 변동에 관한 정보를 보여주는 재무제표입니다. 재무상태표상 자본은 여러 가지 항목으로 기록되는 반면, 자본변동표를 통해 자본 구성 요소들의 1년 동안의 증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금흐름표(statement of cash flow)는 일정 기간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의 증감을 활동별로(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 활동) 구분하여 나타내는 재무제표입니다. 현금흐름표를 통해 정보이용자들은 기업의 현금 창출 능력, 현금 증감내역, 미래현금흐름 예측 등을 할 수 있습니다.
주석(notes)은 재무제표 각 계정 중 중요한 항목에 대해 더욱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재무상태표에서는 자산의 기초와 기말 잔액만을 확인할 수 있지만, 주석을 통해 해당 자산의 취득 및 처분 등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런 재무적 정보뿐만 아니라, 주석을 통해 비재무적 정보 또한 얻을 수 있습니다.
'회계 및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 계정, 거래, 회계처리 (0) | 2022.08.04 |
---|---|
회계법인 연봉! 급여! 어느정도일까? (0) | 2022.08.03 |
회계의 정의 및 정보이용자 (0) | 2022.08.02 |
미국 회계사(AICPA, USCPA) 준비! (2) | 2022.08.02 |
한국 회계 법인 생활! (0) | 2022.08.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