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재무상태표에서 아주 중요한 계정 중 하나인 유형자산에 대해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유형자산이란 회사가 재화나 용역의 생산이나 제공, 타인에 대한 임대 또는 관리 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물리적 형태가 있는 자산으로 한 회계기간을 초과하여 사용할 것이 예상되는 자산을 말합니다. 유형자산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계정 | 내용 | |
사용중인자산 | 토지 | 영업활동을 위해 취득한 대지 등 부지 |
건물 | 건물, 냉난방시설, 전기 및 통신 등 건물부속설비 | |
구축물 | 울타리, 배수로 등 | |
기계장치 | 기계장치 및 운송설비와 기타의 부속설비 등 | |
기타자산 | 차량운반구, 항공기, 선박 등 | |
건설중인자산 | 유형자산의 건설 및 개발을 위해 투입한 원가 |
유형자산은 재고자산처럼 유형자산을 취득하는 과정에서 각종 부대비용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업무용 차량을 한 대 구입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자동차를 구입하게 되면 자동차 가격뿐만 아니라 취득세, 등록세, 채권 매입 비용, 탁송 비용 등 다양한 부대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회계에서는 이러한 유형자산의 취득 과정에서 발생한 비용을 포함하여 취득 시점에 유형자산으로 인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업무용 차량 가격이 1,000만원이고, 취득세 등 각종 취득 부대비용이 경우 회계처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차) 차량 운반구 1,100만 원 (대) 현금1,000만 원
(대) 현금100만 원
이러한 취득 부대비용 등을 포함한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는 회사가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데 필요한 장소 및 운영 상태에 이르게 하는데 직접 관련이 있는 원가를 포함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회사가 기계장치를100만 원에 구입하면서 운임 비용은 20만 원,만원, 설치비용은30만 원 발생하였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회사는 해당 기계장치의 취득원가를150만 원으로 인식해야 합니다.
[감가상각]
다음은 유형자산과 무조건 함께할 수밖에 없는 계정인 감가상각에 대해 말씀드려보겠습니다. 감가상각이란 쉽게 말해서 취득한 유형자산을 영업활동을 하는 해당 기간에 걸쳐 비용으로 인식하는 과정입니다. 감가상각은 유형자산에 수반되는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입니다. 앞에서 회사가 인식한 기계장치를 회사는 취득 당시 150만 원으로 인식하였습니다. 회사는 해당 기계장치를 5년간 사용할 예정이고, 해당 기계장치는 실제로 5년간 사용하는 데 무리가 없는 제품입니다. 이 경우 회사는 5년간150만 원짜리 기계장치를 사용하므로 단순하게 매년30만 원씩 사용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회계처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차) 기계장치150만 원 (대) 현금150만 원
(차) 감가상각비30만 원 (대) 기계장치30만 원
해당 회계처리를 하고 나면 재무상태표에는 기계장치가150만 원이 아닌120만 원으로 남게 되며, 포괄손익계산서에는 비용에 감가상각비30만 원이 인식되게 됩니다. 이처럼 감가상각 누계액 없이 회계처리를 하는 방법을 “순액 회계처리”라고순액회계처리 합니다.
만약 같은 예시를 “총액 회계처리”총액회계처리 방식으로 하게 되면 다음과 같습니다.
(차) 기계장치150만 원 (대) 현금150만 원
(차) 감가상각비30만 원 (대) 감가상각누계액 30만 원
포괄손익계산서상에는 기계장치150만 원, 감가상각누계액 (30만 원)이 기록되며, 포괄손익계산서에는 동일하게 감가상각비 30만 원이 기록되게 됩니다.
[잔존가치와 내용연수]
회사가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을 계산할 때는 내용연수 및 잔존가치를 합리적으로 추정해야 합니다. 내용연수란 회사가 유형자산을 구입 후 몇 동안 사용할지 그 사용 기간을 말하는 것이며, 잔존가치는 회사가 내용연수 기간 동안 사용한 뒤 남아있을 가치를 말합니다. 회사는 내용연수와 잔존가치를 매년 말 재검토를 해야 하며, 만약 내용연수 또는 잔존가치에 변화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해당 변화를 적용하여 감가상각해야 합니다.
앞선 예시에서 회사가150만 원 주고 구입한 기계장치를 5년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고, 5년 뒤 잔존가치가10만 원만큼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다면, 해당 기계장치는 매년30만 원이 아닌28만 원씩 감가상각해야 합니다. [(150만 원-10만 원)/5년]
[감가상각 방법]
감가상각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앞선 글에서 설명한 방법은 정액법으로, 정액법이란 회사가 자산의 내용연수 동안 매년 일정한 금액의 감가상각을 하는 방식입니다. 150만 원짜리만원짜리 기계장치를 5년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단순하게 150/5=30만 원을감가상각한다고 여기는 것입니다. 정액법을 사용할 때는 꼭 잔존가치를 취득원가에서 차감한 뒤 내용연수로 나누어 연간 감가상각을 계산해야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감가상각의 방법에는 정액법 외에도 정률법, 이중체감법, 연수합계법, 생산량비례법 등 무수히 많은 방법이 있습니다. 다만 이번 포스팅에는 그중 가장 간단한 정액법만 말씀드리고 나머지는 다음 포스팅에서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유형자산 및 감가상각에 대해 조금 나눠봤는데, 어떠셨나요? 조금 이해가 되셨을까요? 사실 일상생활에서 유형자산 또는 감가상각이란 단어는 꼭 회계를 전공하지 않아도 굉장히 많이 들어 보셨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만큼 자연스럽게 일상생활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만큼 중요한 친구들이니 확실히 알고 넘어가면 좋겠습니다!
유형자산 외 재고자산, 매출채권, 현금 등 다양한 글을 앞선 포스팅에서 설명하였으니, 한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2.08.09 - [회계] - 재고자산 2 -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가중평균법
2022.08.09 - [회계] - 재고자산, 계속기록법, 실지재고조사법
'회계 및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 - 납입자본, 이익잉여금, 증자, 감자 (0) | 2022.08.10 |
---|---|
유형자산 손상차손, 재평가모형, 무형자산 (0) | 2022.08.10 |
재고자산 2 -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가중평균법 (0) | 2022.08.09 |
재고자산, 계속기록법, 실지재고조사법 (0) | 2022.08.09 |
매출채권, 대손상각비, 대손충당금 (0) | 2022.08.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