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주식, 배당, 현금배당, 주식배당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 재무상태표상 자본에 대해 조금 더 말해보겠습니다. 아마 뉴스 기사에서 “자기주식”이라는 단어를 많이 보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자기주식의 의미는 회사가 발행한 자기 회사의 주식을 다시 취득하는 것을 말하며, 발행한 것을 다시 취득하므로 자본에서 차감 계정으로 인식합니다. 예를 들어 A 회사가 자기주식 1,000원만큼을 취득한 경우 다음과 같이 회계처리합니다. (차) 자기주식 1,000원 (대) 현금 1,000 재무상태표에는 현금이 1,000원만큼 감소하고, 자본 중 자기주식이 1,000원만큼 감소하게 됩니다. 만일 회사가 취득한 자기주식을 외부로 처분하게 될 경우, 처분하는 대가와 취득했던 금액의 차이가 양수일 경우 주기주식처분이익(자본잉여금)으로 회계 처리하고, 음수일 경우 자..
2022. 8. 11.
자본 - 납입자본, 이익잉여금, 증자, 감자
자본 – 납입자본, 이익잉여금, 증자, 감자 한동안 재무상태표 중 자산 측면을 많이 다뤘기 때문에, 이번에는 재무상태표의 자본에 대해 말씀드려보려고 합니다. 앞선 포스팅에 설명했던 것처럼 “자본”을 간단히 말하면 재무상태표 상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금액을 말합니다. 재무상태표 내 부채는 엄밀히 말하면 기업이 채권자들로부터 조달한 채권자청구권(부채)이며, 자본은 주주들로부터 조달한 주주청구권(자본)으로 자산은 이 두 가지의 합으로 이뤄집니다. 자산 또는 부채는 별도의 평가 방법이 존재하지만, 자본은 별도의 평가 방법이 존재하지 않으며,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하여 정합니다. 그렇다면 자본은 어떠한 계정들로 구성되어 있을까요? 자본의 예시로는 납입자본, 이익잉여금 및 기타 자본구성 요소로 분류됩니다. 사실 자..
2022. 8. 10.